[아시아경제 윤나영 기자]오는 10월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이하 단통법)' 시행에 대해 이동통신3사는 "환영한다"면서도 각기 대책 마련에 고심하는 눈치다. 특히 단통법은 휴대폰 유통구조 전반을 보조금 중심에서 서비스·요금 중심으로 개혁하는 내용이어서, 대리점·판매점 등 통신사별 유통망 관리가 필수적이다. 단통법 시행을 앞둔 통신업계의 속내와 유통망 관리 전략을 들여다봤다.
지난달 2일, 차별적 보조금을 규제하기 위해 수립된 단통법이 2년 만에 국회를 통과한 후 이통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는 한목소리로 "단통법 국회 통과를 적극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이들의 속사정을 들여다보면, 미묘한 입장차가 있다.
단통법이 시행되면 제조사로부터 통신사에 지급되는 판매 장려금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판매 장려금이 휴대폰 단말기의 보조금으로 쓰이기 때문이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판매 장려금을 가장 많이 가져가는 SK텔레콤의 경우, 단통법 시행이 그리 달갑지만은 않을 것"이라고 귀띔했다.
SK텔레콤이 최근 직영점과 본사 직접 계약 대리점 숫자를 합해 지난 연말 대비 300개 가량 늘린 것도 이와 관련된 것이라는 게 업계 의견이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연말 기준 이통3사의 대리점 수는 총 4610개, 판매점은 4만1658개다. 3사 서비스를 모두 취급하는 판매점이 많아 중복되는 숫자를 제외하면 판매점 수는 약 2만~3만개에 이를 것으로 추측된다. 업계에서는 이 중 SK텔레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을 약 70%(1만4000~2만1000개)로 보고 있다. 같은 마케팅비(리베이트)를 유통망에 제공해도 타사에 비해 돈이 새나갈 곳이 많다는 뜻이다.
상황이 이런데 단통법 시행으로 제조사 장려금까지 줄어들면 마케팅 비용 투입을 통한 사업이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은 올해 초 유통분야 자회사인 PS&마케팅을 통해 SK네트웍스로부터 단말기 소매사업을 인수하는 등 직영점이나 본사와 직접 계약하는 대리점을 늘려 전체 유통망에서 판매점 비중을 줄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마케팅 비용 대비 수익이 떨어지는 기존 유통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분석했다.
LG유플러스는 단통법 실시로 제조사 판매 장려금이 줄어드는 것을 오히려 반기는 분위기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애초에 판매 장려금 자체가 통신사별로 차이가 나다보니 보조금에 쓰이는 마케팅 비용 자체가 다를 수밖에 없어 불공정한 경쟁이었다"며 "직영점을 중심으로 요금제·서비스 경쟁이 본격화되면 통신업계 판도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통망 관리 차원에서는 LG유플러스 역시 "직영점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기존 유통망 중 악성 대리점 및 판매점을 정리하는 방향으로 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직영대리점 위주로 가는 것이 소모적인 비용을 줄이고 관리에도 효율적"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KT는 직영점은 그대로 두고 대리점과 판매점을 계속 늘릴 계획이다. KT 관계자는 "단통법 시행 후 경쟁이 더 치열해질 것"이라며 "공격적인 마케팅 차원에서 유통망 확대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