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임경제] 3개 LTE 주파수를 묶어 기존 LTE보다 4배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는 3밴드 CA 기술 '선점전쟁' 탓에 KT의 3G 가입자가 도리어 '속도 저하'라는 피해를 받게 되는 양상이 펼쳐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2개의 LTE 주파수만을 보유한 KT는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의 2.1GHz LTE 허용 결정에 따라 3G용인 해당 대역을 LTE로 전환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은 특정 기업을 위한 특혜라고 비난한 바 있다. 기존에 KT는 3개 주파수를 확보한 SK텔레콤·LG유플러스와 달리 LTE 주파수 부족으로 차세대 LTE 기술인 '3밴드 CA'가 가능하지 못했던 상황이었던 만큼 2.1GHz 주파수 대역의 20MHz폭을 LTE용에 맞춰 전환, 이통3사는 연말경 '3밴드 LTE-A'를 상용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아이러니하게도 차세대 기술을 위한 이 같은 결정에 KT의 3G 가입자들은 이전보다 느린 속도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였다. 40MHz 폭을 통해 3G 서비스를 이용했을 때와 이보다 반이 줄어든 20MHz 폭으로 똑같은 3G 서비스를 이용했을 때 속도 차이가 날 수밖에 없는 것은 당연하다. 4차선 도로에서 100대의 자동차가 운전하는 것과 2차선 도로에서 100대의 자동차가 운전할 때 교통 체증에 대한 체감이 다른 것처럼 말이다. KT 측은 LTE의 보편적 사용에 따라 3G 가입자 및 트래픽이 감소세에 있어 충분히 수용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트래픽을 감당할 수 있는 점과 일정 속도를 보장할 수 있는 점은 분명 다르다. 이통사를 통해 3G에 가입한 고객들은 LTE보다 저렴한 요금으로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사용하기 위한 경우가 많고, LTE보다 3G 가입자가 더 많은 수를 차지하는 알뜰폰의 성장세를 보면 3G 가입자에 대한 고려는 분명 필요하다. 이 같은 우려로 미래부 또한 2.1GHz 주파수 대역의 LTE 허용 결정 당시 3G 가입자를 보호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할 것을 당부했었다. 3G 서비스의 이용속도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기지국 증설이 필수적인데, 차세대 LTE를 위한 투자비용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3G 이용자를 위한 비용 투입을 고려할 지는 미지수다. KT 측은 3G 가입자·트래픽 감소세로 인해 추가 기지국 증설에 대한 계획은 아직 없다는 입장이다. 기지국을 증설할 때 기지국 장비뿐 아니라 임대료 및 부대비용이 함께 소요된다. 이 같은 비용 문제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3G에 대한 기지국 증설을 회피할 수밖에 없는 것. KT 입장에서는 LTE 스마트폰이더라도 음성통화 방식에서는 3G를 채용하기 때문에 3G망은 당분간 꼭 필요한 상황이다. LTE로 음성통화까지 가능한 'VoLTE' 기술이 보편화되기 전까지는 3G는 음성통화를 위해 존재해야 한다. 또, 지난 2012년 3월 KT는 2G 서비스 종료로 고객들에게 뭇매를 맞은 기억이 있어 쉽게 3G 서비스를 끝내지 못할 게 자명하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LTE 중심의 이통시장에서 KT가 3G 가입자를 LTE 가입자로 끌어올리기 위한 전략을 적극 펼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3G 가입자를 줄여 속도를 보장할 수 있는 동시에 추후 서비스 종료까지 미리 대비할 수 있는 방책이라는 것. 다시 말해, 이통3사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미래 먹거리에 대비하기 위한 복안이라는 명분 아래 3G 가입자에 대한 고객 배려는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 이 같은 우려를 현실화하지 않기 위해 KT는 3G 가입자를 위한 보호 조치에 대한 분명한 세부 전략을 함께 제시해야 한다. '고객을 최우선'으로 삼으라고 한 황창규 회장의 기조를 증명해야 할 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