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올봄 자회사를 통해 조·중·동·매경 종합편성채널(종편) 4곳에 모두 83억 9000만원을 투자한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종편은 수익성이 불투명해 대부분의 기업들이 투자하기를 꺼리는 형편이다. 이를 모를 리 없는 KT가 ‘통 큰’ 결정을 내린 것은 방송통신위원회와 무관치 않다는 게 중론이다.
민간기업으로서 순수한 이윤추구 행위라면 탓할 명분은 없다. 하지만 KT가 정권의 ‘낙하산인사 기지’가 될 수밖에 없을 만큼 방통위의 입김을 강하게 받는 특수관계인 점을 생각하면 사정은 달라진다. 방통위는 통신요금 규제, 주파수 배정 등 KT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권력기관’이다. 그 수장이 바로 최시중 위원장이다. 그는 그동안 끝없는 특혜 시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종편 밀어주기’를 주도해 왔다. 최근만 해도 4대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사장들을 상대로 종편 채널 연번제 협상 타결을 종용한 것으로 알려져 비판을 샀다.
KT는 그제 “인터넷TV 사업 차원에서 콘텐츠 수급 필요성이 있다.”고 뒤늦게 투자 동기를 밝혔다. 사업성이 없어 종편 컨소시엄에 투자하지 않겠다던 기존 입장을 스스로 뒤집은 것이다. 없던 사업성이 갑자기 하늘에서 떨어지기라도 했단 말인가. 일각에선 내년 초 임기가 끝나는 이석채 회장이 연임을 고려하는 상황에서 보수 매체들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란 얘기도 나온다. KT는 올해 한국산업고객만족도(KCSI) 조사에서 초고속인터넷을 비롯해 유선·인터넷·국제전화, IP TV 등 유선 전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한 국내 ‘최고’ 통신사다. 이런 기업이 어떻게 선뜻 수긍하기 어려운 ‘위험 투자’ 결정을 내렸는지 의아할 따름이다. 방통위는 존재 이유를 분명히 해야 한다. 미디어렙(방송광고판매대행사) 법안 등 정작 나서야 할 땐 뒷짐 지고 종편몰이엔 발벗고 나선다면 비난을 면치 못할 것이다. 최 위원장은 종편추진본부장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