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채 회장의 공기업식 밀어붙이기 ‘배탈’
[일요서울ㅣ강길홍 기자] KT(회장 이석채)의 일방통행 행보가 논란이 되고 있다. 이 회장의 불도저 행보가 기업이미지에 먹칠을 하고 있는 것이다. KT는 2G 서비스 강제 종료에 이어, 스마트TV의 인터넷접속을 차단하는 초강수까지 들고 나왔다. “고객을 위해 뛰겠다”던 KT가 고객을 내쫓고, 고객을 볼모로 돈벌이에 나서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 회장의 공기업식 밀어붙이기 행보는 결국 소비자 불매운동을 불러왔다. 연임이 유력시되는 이 회장의 거취에도 의문부호가 달렸다. 일각에선 KT의 낙하산 인사들이 회사를 망가뜨리고 있다는 비난여론도 확산 중이다. 소비자 우선보다는 정부 정책과의 마찰 모습이 자주 보이기 때문이다.
2G 서비스 강제종료…스마트TV 인터넷 접속차단 일방 통보
경쟁사로 이동하고 불매운동까지…실추된 기업이미지 어쩌나
이석채 KT 회장 |
대법원2부(주심 김용덕 대법관)은 지난 1일 KT 2G 서비스 이용자 900여 명이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의 2G 서비스 폐지 승인 집행정지 신청 재항고심에서 기각 결정을 내렸다. 하지만 아직까지 KT가 완전히 자유로운 것은 아니다. 방통위의 2G 서비스 폐지 승인 처분의 적법 여부를 따지는 본안 소송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이용자들의 대리인인 최수진 변호사는 “본안 소송에서 우리 쪽이 승리할 경우 KT는 2G 서비스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며 “KT 쪽에서도 본안 소송이 마무리 될 때까지 시설을 유지하기로 했고, 기술적으로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KT는 본안 소송 결과를 신경 쓰지 않는 분위기다. 당장 다음달 중 2G 서비스를 완전히 종료하고 4G 서비스에 주력할 방침이다. 이미 지난달 2일부터 서울과 수도권 지역 등 전국 58개 주요 도시에서 2G 서비스를 종료한 바 있다.
2G 이용자 “왜?”
2G 서비스를 고집하는 이용자들은 여러 가지 이유를 들고 있다. 추억이 담긴 휴대전화를 차마 버릴 수 없다는 이용자들은 물론 스마트폰의 비싼 요금제를 감당하기 어렵다는 현실적인 이용자들도 있다. 또 굳이 무선인터넷 등의 서비스가 필요 없고 복잡한 기기를 다루기 어려워하는 노인 등 취약계층에게도 2G 서비스가 더 유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 KT 관계자는 “서비스가 종료된 지역에서 특별한 문제가 나타난 것도 없는데 2G 이용자들이 과민반응을 보이는 것 같다”며 “더 많은 고객에게 우수한 4G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2G 서비스 종료는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2G 서비스 이용 고객은 4만~5만 명 정도이고 서비스가 종료된다고 해서 큰 문제는 없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KT와 달리 SK와 LG는 여전히 2G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의 2G 고객은 지난달 기준으로 전체 가입자 대비 각각 25.1%(668만명)와 37.3%(351만명)를 차지하고 있다. 2G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된 KT 이용자들도 경쟁사로 옮겨가고 있다.
‘010통합반대운동본부’ 회원 가운데 KT의 2G 서비스를 이용하던 1000여 명은 지난 8일 SK텔레콤으로 이동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들은 KT의 다른 통신 서비스 불매 운동에도 나설 예정이어서 KT를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이주홍 녹색소비자연대 사무국장은 “KT는 2G 서비스를 종료하는 과정에서 소비자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었다”며 “오히려 허위·과장 홍보로 소비자를 속여가며 이용자를 줄여나가는 행보로 불신만 키웠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 사무국장은 “KT 2G 이용자들이 소비자가 기업에 대한 항의를 표시하는 가장 강력한 방법인 불매운동을 들고 나선 것은 그만큼 배신감과 분노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스마트TV에 시비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같은 날 성명을 통해 “경실련은 통신사업자의 위법한 행위에 대해서는 소비자들과 함께 고발조치·공익소송·불매운동 등 다양하고 강력한 소비자운동을 전개할 예정이다”라고 경고했다.
방통위도 이날 “KT가 스마트TV 접속 제한을 강행할 경우 법 위반 여부를 검토해 시정명령·사업정지 등 제재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KT는 시민단체와 방통위의 경고를 무시한 채 지난 10일 오전 9시부터 삼성전자 스마트TV의 앱스토어 접속을 차단했다. 반면, LG전자는 KT와 접속이용료를 지불하기로 하는 협상을 진행해 접속차단 사태를 막을 수 있었다. KT가 트래픽 폭증을 이유로 들었지만 결국은 고객을 볼모로 ‘돈벌이’에 나선 것이라는 비판이 쏟아질 수 밖에 없는 이유다.
갈수록 악화되는 KT의 기업이미지와 관련해 일각에선 개발독재 시절의 마인드를 가진 이 회장의 추진력이 한계를 드러낸 것이라는 평가를 내리기도 한다. 민영화된 KT에서 관료적 사고방식의 밀어붙이기식 행보가 ‘배탈’을 일으켰다는 것이다.
slize@ily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