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채 KT 회장은 취임 후 '노사 화합' 덕을 봤다고 자랑했지만 정작 KT와 계열사 노동자들은 CEO 자격이 없다며 조기 퇴진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석채 회장 조기 퇴진"... 시민단체-노조 1박 2일 집중 투쟁
민주노총, 투기자본감시센터 등 50여 개 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KT공대위(죽음의 기업 KT·계열사 노동인권 보장과 통신공공성 확보를 위한
공동대책위)는 28일 오전 11시 광화문 KT 올레스퀘어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석채 회장 퇴진을 촉구하는 1박 2일 집중 투쟁에 나섰다.
이 자리엔 KT 새노조를 비롯해 희망연대노조 KTis, KTcs지부, 공공운수노조 KT텔레캅 지부 등 계열사 조합원들을 포함해 2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29일까지 KT 서초사옥, 국회, 새누리당사, 용산콜센터 등을 돌며 공동 투쟁을 전개할 계획이다.
이들 단체와 KT 갈등이 어제오늘 일은 아니지만 지난 3월 이석채 회장 연임을 계기로 갈등의 골은 더 깊어졌다. 여기에 제주 세계 7대
자연경관 국제전화 투표 '사기극' 논란도 불을 지폈다.
KT는 지난 3월 이 사실을 언론에 폭로한 이해관 KT 새노조 위원장이 회사 명예를 훼손했다며 정직 2개월이란 중징계를 내렸다. 또 지난
5월 9일 이 위원장이 복귀하자마자 집에서 2시간 30분 떨어진 가평 지사로 발령해 '보복 인사' 논란을 자초했다.
이해관 위원장은 이날 "제주 국제전화 문제가 정직 2개월을 줄 정도로 회사 명예를 훼손했다면 대포폰(차명폰)을 개설해준 서유열 KT 사장은
해임이 마땅하다"면서 "민간인 불법사찰 은폐를 도와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그에게는 아무런 인사조치도 없다"고 꼬집었다.
KT에선 기존 노조와 우호적 관계를 내세워 새노조나 KT공대위 활동을 정치적 의도를 가진 소수 세력의 흠집 내기 정도로 깎아내리고 있다.
이석채 회장조차 취임 이후 노사 화합 덕에 사내 개혁과 인력 구조 조정을 강력하게 추진했다며 공공연히 자랑하고 다닐 정도다.
하지만 '노사화합' 그림자에 가려 새노조를 비롯한 내부 비판세력의 목소리는 철저히 억눌러왔다. 지난해 전직 KT 간부의 양심선언으로 밝혀진
KT '인력퇴출 프로그램(CP프로그램)'이 그것이다. 지난 5월 노동부 특별근로감독에서 그 실체가 밝혀지진 않았지만 무급휴일근무 등 각종
근로기준법 위반 행위가 적발되기도 했다.
KT공대위에 따르면 CP 프로그램이 가동된 2006년 이후 지금까지 사망자는 재직자 111명, 정리해고자 97명, 사내 계열사 13명 등을
포함 221명에 이른다. 회사에선 3만여 명에 이르는 전 직원 대비 평균 사망률 수준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공대위에선 퇴출 프로그램과 업무
압박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석호익 전 부회장, 김은혜 전무 등 '낙하산 인사'에 대한 사내 반감, 통신요금 인하를 둘러싼 소비자들과의 뿌리 깊은 갈등, 외국인
투자자 지분이 전체 49%를 차지하는 상황에서 부동산 매각까지 동원한 과도한 현금 배당도 빌미를 줬다.
KT공대위는 이날 기자회견문에서 "국민과 KT 노동자는 안중에도 없고 자신과 측근들만 챙기는 1% 경영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면서
"이석채 회장은 노동자를 죽음으로 내모는 노동인권탄압 경영에 대해 책임지고 스스로 퇴진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