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보이스톡 이어 유튜브도 차단? | |||||||||
[경제뉴스톺아읽기] 유튜브 끊김 현상에 불만 속출, 방통위 '트래픽 관리안' 논란 | |||||||||
| |||||||||
최근 보이스톡 차단으로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통신사가 유튜브까지 차단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돼 주목된다. 망 중립성(망을 소유한 통신사가 망을 이용하는 이용자나 사업자를 차별해서는 안 된다)과 관련해 보이스톡 등 통화 서비스 논란이 동영상 서비스 논란까지 번지는 양상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통신사가 보이스톡, 유튜브 등을 망 혼잡의 이유로 차단할 수 있는 트래픽 관리 방안을 조만간 내놓을 예정이어서, 논의의 파장이 주목된다. 이데일리 기사<서비스 느려졌는데, 통신사 "이상없다"..사용자만 답답>에서 “3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KT 인터넷 사용자들은 유튜브 동영상을 감상할 때 잦은 끊김 현상과 재생 지연으로 불편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IT 관련 커뮤니티에는 “(KT 인터넷으로)10분짜리 동영상을 보려면 30분을 기다려야 한다”는 내용의 글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으며, 유튜브를 재생하는 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녹화 영상까지 게재됐다. 이데일리는 “사용자들은 용량이 큰 고화질(HD) 영상 뿐 아니라 저화질 영상마저도 감상하기 어려운 수준이라고 주장하고 있다”며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KT 상담센터에도 유튜브 동영상 재생 속도가 느려졌다는 내용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데일리는 “사용자들은 LG유플러스나 SK브로드밴드 사용자 사이에서는 이같은 현상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유튜브가 아닌 KT의 문제라고 주장하고 있다”며 “사용자들은 KT가 일부러 인터넷 망의 품질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까지 내놓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KT 관계자는 “KT 망에는 아무 이상이 없다”며 “유튜브 쪽 트래픽 과다현상일 수 있어 유튜브에 문의한 상태”라고 말했다. KT가 고의로 유튜브의 품질을 제한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동안 통신사가 유튜브를 차단할 수 있다는 의혹이 제기돼 왔기 때문에 이번 논란은 주목된다. 앞서, KT는 올해 초 삼성 스마트TV가 망 부하를 일으킨다는 이유로 해당 망 서비스를 차단한 바 있다. 당시 KT는 스마트TV에 대한 망 이용 대가를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유튜브에 대한 과금도 언급한 바 있다. 김효실 KT 상무는 긴급 기자회견에서 “지난해 4월 보다폰 등 유럽 통신사들이 대용량 트래픽을 유발하는 구글, 유튜브 등에 별도의 과금을 천명한 바 있다”고 발표했다. 최근 통신사들이 보이스톡을 이용하려면 추가 요금을 내도록 하는 요금 약관을 방통위에 신청한 것처럼, 유튜브도 ‘마음대로 보고 싶으면 돈 더 내라’고 할 수 있다. 더군다나 유튜브는 보이스톡보다 망에 트래픽 부담을 더 주고 있다. 해당 소식은 지난 3일 한겨레 기사<방통위, 통신사 ‘모바일 인터넷전화’ 차단 허용 가닥>와 일부 언론에 보도됐을 뿐 방송 등 다른 언론에서는 잠잠한 상황이다. ‘인터넷 망에서의 합리적 트래픽 관리 기준(안)’에 따르면, “기술 특성상 망에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에 대해 혼잡 또는 장애 소지를 최소화하기 위해 국내외 표준화기구가 제정한 표준을 준수할 것을 사전에 권고하고, 정당한 사유 없이 이에 따르지 않는 콘텐츠 등을 망 혼잡 시 우선 차단”하도록 규정했다. 유튜브도 이 서비스 안에 포함된다. 이에 대해 방통위 “무조건적이고 일반적인 차단을 허용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부인했지만, 오는 11일 트래픽 관리 방안에 대한 토론회를 여는 등 올해 중에 관련 정책을 만들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통신사들이 ‘트래픽 관리’를 주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방통위가 ‘트래픽 관리’ 정책을 제대로 만들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해당 소식은 지난 3일 한겨레 기사<방통위, 통신사 ‘모바일 인터넷전화’ 차단 허용 가닥>와 일부 언론에 보도됐을 뿐 방송 등 다른 언론에서는 잠잠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방통위 “무조건적이고 일반적인 차단을 허용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부인했지만, 오는 11일 트래픽 관리 방안에 대한 토론회를 여는 등 올해 중에 관련 정책을 만들 예정이다. 그동안 통신사들이 ‘트래픽 관리’를 주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방통위가 ‘트래픽 관리’ 정책을 제대로 만들 수 있을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