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이석채 회장, 실적부진에 개인정보유출 강펀치까지 '흔들흔들' | ||||||||||||
총체적 위기설 긴급진단...악재 '첩첩산중' | ||||||||||||
| ||||||||||||
[파이낸셜투데이=황병준 기자] 이석채 KT회장이 승부수를 띄었다. KT는 지난 13일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통해 통신 경쟁력을 강화하고 미래 성장 동력을 육성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대로는 안된다’는 KT의 위기감이 묻어나는 대목이다. KT는 최근 대규모 고객정보유출과 LTE 시장에서의 영업부진 등 어려움을 한 몸에 받고 있다. 또한 그동안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노조원의 자살사건과 이 회장의 리더십 부재와 낙하산 인사 등으로 골머리를 앓아 왔다. 여기에 KT는 단말기 제조사인 KT테크를 인수하면서 통신과 제조의 시너지를 찾지 못한채 막을 내렸다. <파이낸셜투데이>는 최근 악재가 겹치면서 흔들리고 있는 KT를 집중 살펴봤다. 지난달 29일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는 KT의 휴대전화 가입자 870만여명의 정보가 국내 해커와 텔레마케팅 업체에 의해 5개월간 유출됐다고 밝혔다. KT의 휴대전화 가입자가 1,750만명임을 감안하면 전체 가입자의 절반 이상의 개인정보가 유출돼는 충격적인 사건이다. KT는 이번 해킹 사건이 과거 사례와는 달리, 범행 현장에서 범인을 검거한 데가 해킹된 모든 정보가 들어있는 중앙 서버와 PC 등 관련 장비 일체를 압수했고, 해외유출이 없는 국내 범죄여서 추가 유출을 우려할 수준이 아니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피해 보상과 대책에 관련해서는 사법기관의 법적 판단 절차가 진행되고 있어 결과에 존중하겠다고 밝혀 사실상 보상계획을 갖고 있지 않음을 내비쳤다. KT의 개인정보 유출소식을 접한 가입자들은 앞다퉈 집단소송을 제기하고 나섰다. 지난 14일 노경희변호사는 서울중앙지방법원에 KT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이번 소송에서 노 변호사측은 ‘1명당 50만원씩 지급하라’며 KT를 상대로 첫 집단소송 접수를 완료했다. 노 변호사는 “회원들의 개인정보가 유출돼 악용될 빌미를 마련한 것은 물론, 금융정보까지 유출되면 중대한 재산상 손해를 입힐 수 있다”고 덪붙였다. 노경희 법률사무소는 앞으로 추가로 소송인을 모집해 2차 소송을 벌일 계획도 밝혔다. 노 변호사는 “소송인을 한꺼번에 모으지 않고 준비가 되는되로 소송을 제기할 것”이라며 “2차 소송을 준비중에 있으며 시기는 9월초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KT 관계자는 “개인정보 유출에 관련해서는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현재 경찰과 방송통신위원회의 조사가 진행중에 있어 결과를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휴대폰 등 무선상품을 담당하던 개인고객부문과 초고속인터넷 등 유선상품을 관리하던 홈고객부문이 통합 조정돼 ‘텔레콤&컨버전스 부문’과 ‘커스터머 부문’으로 개편했다. 이는 대규모 고객정보유출 사태로 신뢰도가 추락하고, LTE 시장에서 영업력 부진으로 실적이 악화되는 등 최악의 경영환경을 정면 돌파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번 조직개편은 당초 예정보다 6개월이나 앞당겨졌고, 개편폭도 크다는 점에서 이 회장의 개혁의지가 고스란히 드러난 것으로 업계는 평가하고 있다. 이번 경영체제 개편은 ▲고객중심 경영과 영업력 강화 ▲미래 성장 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한 3개의 신설법인 설립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다. 하지만 업계의 전반적인 분위기는 KT의 이번 조직 개편이 실적 부진을 만회하기 위한 돌파구가 아니겠냐는 해석이다. KT의 올해 2분기 매출(연결 기준)은 5조7,733억원, 영업이익은 3,717억원, 순이익은 2,380억원이다.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14%, 전분기 대비 35.3% 감소했고 순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43.4%, 전분기 대비 41.6% 급감했다. KT 관계자는 “모바일과 유선으로 불리된 조직을 하나의 조직으로 합치는 개편이다”며 “가입자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일환으로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KT는 올 하반기에 총 1조9,000억원이란 거액을 LTE 설비 구축에 투자할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서비스 질이 올라가면서 가입자 확보가 용이해 질것이로 예상하고 있다. KT 관계자는 “LTE서비스에 있어서는 후발사업자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가입자가 적은 것”이라며 “LTE서비스 확대를 위해 연말 400만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KT테크는 지난해 매출 2,474억원, 당기순이익 6억4,100만원을 기록했지만 지난해 말 기준 자산(1,109억원) 보다 부채(1,399억원)가 더 많은 자본잠식 상태였다. KT가 철수하면 국내 주요 휴대전화 제조사는 삼성전자·LG전자·팬택 등 세 곳만 남는다. SK텔레콤 전용 휴대전화 'W폰'을 만들어오던 SK텔레시스도 판매부진에 시달리다 작년 9월 휴대전화 제조업에서 철수한 바 있다. 이와 맞물려 인터넷 시장도 2009년을 정점으로 차츰 성장세가 되고 있다. 지난 5월말 가입자가 1,800만명을 돌파해 더 이상의 성장이 어려울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그나마 가장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무선통신부문은 작년 말 가입자가 5,300만명을 넘어서면서 국내보급률 106%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성장세도 2007년 8%에서 지난해에는 3%로 하락했다. 이제 유일하게 남은 분야는 무선통신의 승부를 결정지을 것으로 예상되는 LTE가 향후 이동통신 전반의 판세를 뒤흔들 가능성이 가장 높아 졌다. KT는 지난 6월 22일 KT공대위와 KT노동인권센터 등 단체와 대표자들이 자사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에 3억원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또한 ‘죽음의 기업 KT’와‘KT노동인권센터’라는 단체 명칭 사용 금지를 요구했다. KT는 소장에서 ‘죽음의 기업’이란 이름이 기업의 명예를 훼손하고 기업 이름의 성명권을 침해했다고 밝혔다. 여기서 KT는 “회사 재직시 사망률은 국내 평균 사망률이나 산업재해률에 비춰도 높지 않다”면서 “사망 원인도 평소 지병으로 인한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주장했다. KT 공대위는 지난 3월, 이석채 회장의 연임을 반대하는 투쟁을 벌였으나 KT는 주주총회를 통해 이석채 회장의 연임을 결정했다. KT 공대위는 이석채 회장의 연임이 결정된 이후로 경영이 더욱 악화일로를 걷고 있으며 노동인권 탄압이 더욱 극심해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KT는 민영화 이후 10년 동안 4명의 CEO가 교체되었고 평균 재임기간은 3.1년에 불과하다. MB정권으로 바뀔 때는 남중수 전 사장이 구속돼 강제 해임되면서 TK출신 이석채 회장이 선임되는 등 CEO와 임원 선임에 정치적 변수가 많아 ‘무늬만 민영화’란 지적을 받고 있다. 이 회장의 경우도 올해 주총에서 재선임되어 임기가 상당기간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벌써부터 통신업계를 중심으로 정권교체 후 자리를 떠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