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40대, 10명중 2~3명은 적자가구‥'교육·통신비 급증'
30대와 40대 가구주 10명 중 2~3명은 교육 통신비 등의 급증으로 소득보다 지출이 많은 '적자가구'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의 소비지출 중
식료품 등 필수품 비중은 줄어든 반면 교통 통신 교육 등 선택소비 비중은 늘어났다.
삼성경제연구소는 19일 통계청의 가계동향 자료를
토대로 작성한 '연령별 소비구조 변화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소득과 소비의 중심계층인 30대와 40대 가계에서 적자가구의 비중이 큰
폭으로 확대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기준 적자가구 비중은 30대가 21.8%, 40대가 28.6%로 1991년보다
각각 9.8%포인트, 10.5%포인트 높아졌다. 60세 이상인 가계 중 적자가구 비중도 30~35%대의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
적자가구 비중이 늘어난 것은 소비성향이 높은 청·장년 가계의 경우 소비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전체
가계의 실질 처분가능소득 증가율은 1991∼1995년 사이 4.1%였으나 2006∼2011년에는 1.1%로 3.0%포인트나 하락했다. 특히
60세 이상 가계는 같은 기간 4.5%에서 -0.1%로 실질 가처분소득이 감소세로 돌아섰다. 30대와 40대는 같은 기간 각각 2.8%포인트,
2.1%포인트 하락했다.
가계의 실질 소비지출 증가율은 1991~2000년 4.5%에서 2001~2011년 1.2%로 3.3%포인트
떨어졌다. 가구주 나이가 29세 이하와 30대인 가계는 각각 3.4%포인트, 3.3%포인트 하락해 1%대로 낮아졌다. 60세 이상인 가계는
2001~2011년 -0.4%를 기록하며 감소세로 전환했다. 고령가계는 소득 증가세 둔화에 따라 소비지출을 크게 축소한 반면 청·장년 가계는
소비 증가율이 소득 증가율을 상회하는 현상이 장기화되고 있다.
가계의 소비지출에서는 식료품, 비주류음료 등 필수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1990년 26.3%에서 지난해 13.4%로 줄어들었다. 반면 교통 통신 교육 등의 선택소비 지출은 1.5~4배 가량 확대됐다. 통신
관련 소비지출 비중은 1990년 1.5%에서 2011년 6.3%로 4.2배 증가했고 교통은 8.1%에서 11.9%로, 교육은 8.5%에서
13.3%로, 음식·숙박은 8.3%에서 13.2%로 늘어났다.
특히 교육 지출은 가구주가 40대인 가계에서 크게 늘어났다. 40대
가계의 소비지출에서 교육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 12.8%에서 2000년 16.2%, 2011년 20.7%로 급증했다. 전체 소비의 5분의
1을 교육에 쏟아붓고 있는 것이다.
이은미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고령가구의 증가로 인한 소비부진을 해소하려면 고령인구의
경제활동 참여기회 확대, 노후 소득보장 강화 등을 통해 고령 가계의 소비 여력을 확충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연령별로는 40대 가계의 높은
교육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학원비 절감 방안을 모색하는 동시에 공교육 중심의 입시제도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