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채 KT 회장, 정성복 부회장 인사 놓고 설왕설래
차기 정부 의식한 수비벽 강화 차원?
올해 초 이석채 KT 회장이 단행한 정성복 KT 윤리경영실장의 부회장 승진 인사에 대해 그룹 내부의 잡음이 만만치 않다.
영입된 지 불과 4년 만에 이뤄진 초고속 승진, 맡고 있는 부서의 그룹 내 위상 등 여러모로 볼 때 이례적인 정 부회장의 인사에 대해 내부에서부터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정 부회장의 승진과 함께 이뤄진 남상봉 KT 법무센터장의 영입을 놓고도 새 정부 출범을 의식한 이 회장의 ‘수비벽 쌓기’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 회장은 김영삼 전 대통령의 차남인 김현철 전 여의도연구소 부소장의 경복고 선배로 문민정부 시절 중책을 맡은 바 있어 YS(김영삼)의 핵심인맥으로 분류된다.
정성복 부회장 승진으로 내부에 잡음
KT는 올해 1월1일자로 그룹 윤리경영실 정성복 사장을 부회장으로 승진 발령했다. 정 부회장은 1986년 임관 후 법무부, 대검찰청, 서울지방검찰청 등에서 검사, 검찰연구관, 특수부장, 형사부장, 지청장, 차장검사 등을 역임했고 성수대교, 삼풍백화점 붕괴 사건, 분당파크뷰아파트 분양 특혜 사건, 옷로비 사건 등 대형 사건들을 잇달아 맡으며 부상한 인물이다.
정 부회장은 서울고검 검사로 재직하던 지난 2009년 1월 KT에 발탁됐으며 이후 그룹의 윤리경영을 총괄해왔다. KT 측은 정 부회장의 승진 배경에 대해 “성역 없는 감사와 비리척결을 통해 KT의 윤리경영 수준을 크게 발전시키고 이석채 회장의 강력한 경영혁신을 도왔다”고 밝혔다.
문제는 정 회장의 이례적인 승진으로 내부에서 불평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정 부회장이 표현명 부회장과 함께 승진하기 전까지만 해도 KT에는 부회장이 존재하지 않았다.
석호익 부회장이 한나라당 후보로 국회의원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사임한 지난 2011년 9월 이후 부회장 자리가 공석으로 남아 있었다. 이처럼 비어 있던 부회장 자리에 외부에서 영입된 지 4년밖에 안 된 정 부회장을 올려놓았다는 점에 KT 내부에서는 물론이고 밖에서도 곱지 않은 시선이 쏟아지고 있다.
정 부회장이 맡고 있는 부서가 윤리경영실이라는 점도 논란의 대상이다. 2009년 이전까지만 해도 KT의 윤리경영실장은 상무급에 불과했다. 그러나 정 부회장이 KT에 입사하면서 윤리경영실장의 위상이 부사장으로 2단계 격상한 데 이어 이듬해에는 사장으로, 이번에는 부회장으로까지 올라섰다.
법무ㆍ감사의 역할을 하고 있는 부서의 장이 부회장 직함을 달고 있다는 것은 국내 재계를 통틀어 극히 이례적이다. 그룹의 여타 주요 부서장들이 이번 인사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낼 수밖에 이유다.
물론 이 같은 내부의 비판여론에는 정 부회장이 KT에 들어온 이후 협력업체로부터 금품을 받은 전ㆍ현직 임직원들을 검찰에 고발하는 등 그동안 강력히 진행해온 내부감사 움직임에 부담을 느낀 사람들의 불만도 섞여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 회장 체제에서 진행됐던 KT의 인사를 유심히 살펴보면 내부 인사들의 불만이 단순한 시기나 불평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회장은 KT 내 요직을 자신의 사람들로 채워 넣으며 이른바 ‘친정체제’를 만들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지난해 12월 김은혜 전 청와대 대변인을 그룹 홍보업무를 총괄하는 커뮤니케이션실장에 임명했고 같은 날 신사업본부를 만들어 오세훈 전 서울시장의 여동생인 오세현 전무를 본부장으로 임명했다. 김 실장과 오 본부장은 이 회장이 각각 2010년, 2009년 영입한 후 빠른 승진을 거친 인사들이다.
전임자들 전철은 피한다?
차기 정부를 염두에 둔 ‘수비벽 강화’라는 지적에는 이석채 회장이 김영삼 전 대통령, 이명박 현 대통령 등 과거 권력의 핵심인사였다는 인식이 바탕에 깔려 있다.
이 회장은 대표적인 김영삼 전 대통령 인맥으로 분류된다. 김 전 대통령의 차남인 김현철 전 여의도연구소 부소장의 경복고 선배이기도 한 이 회장은 문민정부 시절 농림수산식품부 차관(1994년)과 재정경제원 차관(1994년), 정보통신부 장관(1996년), 청와대 경제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1996년) 등 핵심요직을 두루 거쳤다.
정보통신부 장관 재직 시절 PCS 사업자 선정과정과 관련해 특정 업체를 도왔다는 혐의로 기소, 하와이로 도미하는 등 10여 년에 걸친 긴 야인생활을 한 이 회장이 화려하게 부활한 것은 이명박 정부 때다. 국민경제자문위원회의 자문위원을 맡으며 부활을 선언한 이 회장은 MB 낙하산 논란 등 여러 잡음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KT의 사장 자리에 앉았다.
문제는 새 정부가 들어서면 공기업, 준정부기관 등 청와대의 입김이 직간접적으로 닿는 모든 기관에 속해 있는 주요 인사들을 물갈이하는 것이 관례처럼 이어져 왔다는 점이다.
민간기업이면서도 여전히 공기업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포스코와 KT의 수장들도 예외가 될 수 없었다. 역대 정권에서 승승장구해왔던 이 회장으로서는 이번 박근혜 정부의 출범이 지난해 연임에 성공한 이후 맞이한 최대의 고비인 셈이다.
정성복 부회장의 승진은 권력 교체기 이 회장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친정체제 구성’의 화룡점정으로 해석된다. 20여 년간 검사로 재직한 뒤 2011년부터 법무법인 명문에서 변호사로 근무해왔던 남상봉 전무의 KT 법무센터장 합류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다. 남 전무는 이 회장이 2대 장관을 지냈던 옛 정보통신부에 2004년~2006년 법률자문관으로 파견된 경력이 있다.
특히 정 부회장의 승진, 남 전무의 파격 발탁은 단순히 이 회장의 ‘자기 사람 채워 넣기’를 넘어 불명예스럽게 퇴진했던 전임 수장들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한 사전 포석으로도 읽힌다.
2008년 남중수 전 사장의 구속사유는 뇌물수수였지만 그 배경에는 정치권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새 정권 출범 이전에 재빨리 연임 작업을 완료하면서 자리를 보전한 남 사장이지만 MB 정권의 거센 ‘물갈이’ 바람을 피할 수는 없었다는 것이다. 지난해 연임에 성공하며 2015년까지 3년의 임기를 보장받은 이 회장 또한 비슷한 이유로 고민이 깊을 수밖에 없다.
이에 KT 측은 “정성복 부회장이 맡고 있는 윤리경영실은 외부에서 보는 것보다 실제 맡고 있는 일이 많은데 해당 업무들에서 성과가 좋은 것이 이번 승진에 영향을 미쳤다”며 “실제로 박근혜 당선인이 KT의 대표이사를 바꾸려고 마음을 먹었다면 의혹을 받은 인사들로 방어할 수 있겠느냐”고 해명했다.
후임 관련 소문 무성
이석채 회장이 자신의 사람들로 수비벽을 쌓고 있는 동안 정치권에서는 벌써부터 후임 사장 관련 소문이 흘러나오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방송ㆍ통신 쪽 경력이 있는 인물 중 박근혜 당선인과 가까운 사람들은 KT 사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며 “윤창번 단장 같은 경우 이미 그런 소문의 당사자가 된 지 오래”라고 전했다.
하나로텔레콤 사장을 거쳐 한국과학기술원 정보미디어경영대학원 교수, 김앤장법률사무소 고문 등을 역임한 윤창번 전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회 방송통신추진단장은 이 회장이 KT 사장에 임명됐던 2008년에도 사장 후보로 주목된 바 있다. 정계와 재계에서는 윤 전 단장의 경력을 봤을 때 통신사 수장으로서 손색이 없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이에 대해 KT 관계자는 “(윤창번 단장에 대한) 소문이 돌고 있는 것은 들었다”라며 “전혀 근거가 없는 헛소문에 불과한데 누가 그러한 얘기를 퍼뜨리는 것인지 궁금하다”고 일축했다.
올해 초 이석채 KT 회장이 단행한 정성복 KT 윤리경영실장의 부회장 승진 인사에 대해 그룹 내부의 잡음이 만만치 않다.
영입된 지 불과 4년 만에 이뤄진 초고속 승진, 맡고 있는 부서의 그룹 내 위상 등 여러모로 볼 때 이례적인 정 부회장의 인사에 대해 내부에서부터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정 부회장의 승진과 함께 이뤄진 남상봉 KT 법무센터장의 영입을 놓고도 새 정부 출범을 의식한 이 회장의 ‘수비벽 쌓기’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 회장은 김영삼 전 대통령의 차남인 김현철 전 여의도연구소 부소장의 경복고 선배로 문민정부 시절 중책을 맡은 바 있어 YS(김영삼)의 핵심인맥으로 분류된다.
정성복 부회장 승진으로 내부에 잡음
KT는 올해 1월1일자로 그룹 윤리경영실 정성복 사장을 부회장으로 승진 발령했다. 정 부회장은 1986년 임관 후 법무부, 대검찰청, 서울지방검찰청 등에서 검사, 검찰연구관, 특수부장, 형사부장, 지청장, 차장검사 등을 역임했고 성수대교, 삼풍백화점 붕괴 사건, 분당파크뷰아파트 분양 특혜 사건, 옷로비 사건 등 대형 사건들을 잇달아 맡으며 부상한 인물이다.
정 부회장은 서울고검 검사로 재직하던 지난 2009년 1월 KT에 발탁됐으며 이후 그룹의 윤리경영을 총괄해왔다. KT 측은 정 부회장의 승진 배경에 대해 “성역 없는 감사와 비리척결을 통해 KT의 윤리경영 수준을 크게 발전시키고 이석채 회장의 강력한 경영혁신을 도왔다”고 밝혔다.
문제는 정 회장의 이례적인 승진으로 내부에서 불평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정 부회장이 표현명 부회장과 함께 승진하기 전까지만 해도 KT에는 부회장이 존재하지 않았다.
석호익 부회장이 한나라당 후보로 국회의원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사임한 지난 2011년 9월 이후 부회장 자리가 공석으로 남아 있었다. 이처럼 비어 있던 부회장 자리에 외부에서 영입된 지 4년밖에 안 된 정 부회장을 올려놓았다는 점에 KT 내부에서는 물론이고 밖에서도 곱지 않은 시선이 쏟아지고 있다.
정 부회장이 맡고 있는 부서가 윤리경영실이라는 점도 논란의 대상이다. 2009년 이전까지만 해도 KT의 윤리경영실장은 상무급에 불과했다. 그러나 정 부회장이 KT에 입사하면서 윤리경영실장의 위상이 부사장으로 2단계 격상한 데 이어 이듬해에는 사장으로, 이번에는 부회장으로까지 올라섰다.
법무ㆍ감사의 역할을 하고 있는 부서의 장이 부회장 직함을 달고 있다는 것은 국내 재계를 통틀어 극히 이례적이다. 그룹의 여타 주요 부서장들이 이번 인사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낼 수밖에 이유다.
물론 이 같은 내부의 비판여론에는 정 부회장이 KT에 들어온 이후 협력업체로부터 금품을 받은 전ㆍ현직 임직원들을 검찰에 고발하는 등 그동안 강력히 진행해온 내부감사 움직임에 부담을 느낀 사람들의 불만도 섞여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 회장 체제에서 진행됐던 KT의 인사를 유심히 살펴보면 내부 인사들의 불만이 단순한 시기나 불평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회장은 KT 내 요직을 자신의 사람들로 채워 넣으며 이른바 ‘친정체제’를 만들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지난해 12월 김은혜 전 청와대 대변인을 그룹 홍보업무를 총괄하는 커뮤니케이션실장에 임명했고 같은 날 신사업본부를 만들어 오세훈 전 서울시장의 여동생인 오세현 전무를 본부장으로 임명했다. 김 실장과 오 본부장은 이 회장이 각각 2010년, 2009년 영입한 후 빠른 승진을 거친 인사들이다.
전임자들 전철은 피한다?
차기 정부를 염두에 둔 ‘수비벽 강화’라는 지적에는 이석채 회장이 김영삼 전 대통령, 이명박 현 대통령 등 과거 권력의 핵심인사였다는 인식이 바탕에 깔려 있다.
이 회장은 대표적인 김영삼 전 대통령 인맥으로 분류된다. 김 전 대통령의 차남인 김현철 전 여의도연구소 부소장의 경복고 선배이기도 한 이 회장은 문민정부 시절 농림수산식품부 차관(1994년)과 재정경제원 차관(1994년), 정보통신부 장관(1996년), 청와대 경제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1996년) 등 핵심요직을 두루 거쳤다.
정보통신부 장관 재직 시절 PCS 사업자 선정과정과 관련해 특정 업체를 도왔다는 혐의로 기소, 하와이로 도미하는 등 10여 년에 걸친 긴 야인생활을 한 이 회장이 화려하게 부활한 것은 이명박 정부 때다. 국민경제자문위원회의 자문위원을 맡으며 부활을 선언한 이 회장은 MB 낙하산 논란 등 여러 잡음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KT의 사장 자리에 앉았다.
문제는 새 정부가 들어서면 공기업, 준정부기관 등 청와대의 입김이 직간접적으로 닿는 모든 기관에 속해 있는 주요 인사들을 물갈이하는 것이 관례처럼 이어져 왔다는 점이다.
민간기업이면서도 여전히 공기업적인 성격을 띠고 있는 포스코와 KT의 수장들도 예외가 될 수 없었다. 역대 정권에서 승승장구해왔던 이 회장으로서는 이번 박근혜 정부의 출범이 지난해 연임에 성공한 이후 맞이한 최대의 고비인 셈이다.
정성복 부회장의 승진은 권력 교체기 이 회장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친정체제 구성’의 화룡점정으로 해석된다. 20여 년간 검사로 재직한 뒤 2011년부터 법무법인 명문에서 변호사로 근무해왔던 남상봉 전무의 KT 법무센터장 합류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될 수 있다. 남 전무는 이 회장이 2대 장관을 지냈던 옛 정보통신부에 2004년~2006년 법률자문관으로 파견된 경력이 있다.
특히 정 부회장의 승진, 남 전무의 파격 발탁은 단순히 이 회장의 ‘자기 사람 채워 넣기’를 넘어 불명예스럽게 퇴진했던 전임 수장들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한 사전 포석으로도 읽힌다.
2008년 남중수 전 사장의 구속사유는 뇌물수수였지만 그 배경에는 정치권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새 정권 출범 이전에 재빨리 연임 작업을 완료하면서 자리를 보전한 남 사장이지만 MB 정권의 거센 ‘물갈이’ 바람을 피할 수는 없었다는 것이다. 지난해 연임에 성공하며 2015년까지 3년의 임기를 보장받은 이 회장 또한 비슷한 이유로 고민이 깊을 수밖에 없다.
이에 KT 측은 “정성복 부회장이 맡고 있는 윤리경영실은 외부에서 보는 것보다 실제 맡고 있는 일이 많은데 해당 업무들에서 성과가 좋은 것이 이번 승진에 영향을 미쳤다”며 “실제로 박근혜 당선인이 KT의 대표이사를 바꾸려고 마음을 먹었다면 의혹을 받은 인사들로 방어할 수 있겠느냐”고 해명했다.
후임 관련 소문 무성
이석채 회장이 자신의 사람들로 수비벽을 쌓고 있는 동안 정치권에서는 벌써부터 후임 사장 관련 소문이 흘러나오고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방송ㆍ통신 쪽 경력이 있는 인물 중 박근혜 당선인과 가까운 사람들은 KT 사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며 “윤창번 단장 같은 경우 이미 그런 소문의 당사자가 된 지 오래”라고 전했다.
하나로텔레콤 사장을 거쳐 한국과학기술원 정보미디어경영대학원 교수, 김앤장법률사무소 고문 등을 역임한 윤창번 전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회 방송통신추진단장은 이 회장이 KT 사장에 임명됐던 2008년에도 사장 후보로 주목된 바 있다. 정계와 재계에서는 윤 전 단장의 경력을 봤을 때 통신사 수장으로서 손색이 없다는 평가가 주를 이룬다.
이에 대해 KT 관계자는 “(윤창번 단장에 대한) 소문이 돌고 있는 것은 들었다”라며 “전혀 근거가 없는 헛소문에 불과한데 누가 그러한 얘기를 퍼뜨리는 것인지 궁금하다”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