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이석채號는 지금...③ ‘정관의 난’ | |
당나라 제2대 황제였던 이세민은 중국 최고의 성군으로 불립니다. 청나라 강희제와 비교되면서, 그가 다스린 시대를 ‘정관의 치(貞觀─治)’라고 하지요. 이를 빗대 발음만을 차용한 ‘정관의 난’이 KT 주변에서 생겨납니다. 5년여 전인 지난 2008년 KT사장 선출을 둘러싼 냉소적 잡음 속에서 나온 ‘정관의 난(定款의 亂)’이 그 것입니다. ‘정관의 난’은 사뭇 깊은 역사를 간직하고 있지요. 늘 ‘힘 센(?)’ 쪽에 ‘착’ 붙어, 상식과 합리라고 강변합니다. #1. 2002년. SK텔레콤은 썩 탐탁치 않게 짜여진 이사진 탓에 속을 태웠습니다. 당시 KT는 SK텔레콤의 2대 주주였지요. SK텔레콤(23%)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지분(19%)을 갖고 있었습니다. 2대 주주의 힘은 컸습니다. KT가 남중수 당시 재무실장에게 SK텔레콤의 비상임 이사직을 맡겼으니까요. 거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남 실장은 뛰어난 법학지식으로 무장한 사외이사를 추천합니다. 김건식 서울대 법대교수였습니다. 김 교수의 사외이사로서의 활약은 대단했습니다. SK텔레콤의 고위 인사들이 소관 부처인 정보통신부를 찾아가 읍소할 지경이었으니까요. 경쟁사에서 보낸 사외이사의 엄중한(?) 이사직 수행이 껄끄러움을 넘어 훼방으로 다가온 까닭입니다. 급기야 SK텔레콤은 ‘경쟁사 임직원 출신은 이사가 될 수 없다’는 내용을 정관에 ‘콱’ 못박아 삽입합니다. KT도 다르지 않았습니다. 민영화에 따른 잔여지분 처분 이후 SK텔레콤이 주요주주로 등장하면서, 정관 제25조에 ‘2년 이내에 경쟁사에서 임직원이었던 인사는 KT의 대표이사가 될 수 없다’고 규정하지요. 지난 2008년 민영4기 KT사장(11대, 현 이석채 회장)을 선출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된 바로 그 조항입니다. 남 실장과 김 교수의 인연은, 남 실장이 KTF와 KT 사장으로 재임하는 동안 계속됩니다. 김 교수가 KT의 사외이사로 들어왔지요. 이어 김 교수는 2005년 윤정로 교수(KAIST)·김도환 교수(세종대)와 함께 5인으로 구성된 사장추천위원회의 멤버로 참여해 남중수 당시 KTF사장을 KT의 9대 사장으로 선출합니다. 나아가 2007년 12월 남 사장의 연임을 결정하구요. 2008년 11월. 불행한 이유로 남 사장이 사임하면서, 김 교수는 다음 사장을 뽑는 사추위 위원이 됩니다. 하지만, 김 교수는 문제의 정관 조항을 스스로에게 엄격히 적용해 사추위 불참을 선언하지요. KT를 잘 아는 ICT인들이 말하는 이른바 ‘정관의 난’의 출발점에 남중수 사장과 김건식 교수가 있었습니다. #2. 2008년 11월 25일. KT 이사회는 주변의 우려와 경계를 뒤로하고 정관 개정을 의결합니다. 그리고 개정 될 정관에 준해 다음 사장을 뽑는 작업에 들어갑니다. ‘정관의 난’이 시작된 것이지요. SK C&C 사외이사로 재직 중이었던 탓에, 정관 25조에 발목이 잡혔던 ‘이석채 전 장관을 위한 정관 개정’이라는 경계어린 시각이 지배적이었습니다. 정치권이 나섭니다. 민주당은 당시 이상득 의원이 이석채 전 장관을 밀고 있다는 일각의 시선에 주목합니다. “사실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국회차원의 조사도 할 수 있다”고 잔뜩 벼렀지요. 민노당도 ‘민간기업 KT에 정권의 낙하산 사장이 투척되고 있다’는 제목의 대변인 브리핑을 통해 “이석채 전 장관을 사장으로 앉히기 위해 정관까지 바꿨다”고 지적합니다. 자연스럽게 ‘입방아’가 거듭니다. ‘고교 담합설’이 백미였지요. 이석채 전 장관과 서정수 KT 사장직무대행, 그리고 김영삼 전 대통령의 아들 김현철 씨가 고교동문이라는 점에 근거했습니다. 김현철씨가 이석채 전 장관을 위해 이상득 의원 측에 지원요청을 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결국 ‘정관의 난’에 힘 입어 이석채 후보가 사장에 취임합니다. #3. 이어 2년여가 2010년. KT는 CEO추천위원회와 관련한 의미심장한 정관 개정에 나섭니다. 사외이사(7인), 민간위원(1인), 전직 KT사장(1인)으로 짜여진 추천위원회 구성을 ‘확’ 바꿨지요. “이사회의 책임성과 독립성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며, 민간위원과 전직 KT사장을 ‘쏙’ 뺍니다. 사외이사와 사내이사만으로 추천위원회를 구성하지요. CEO 선출과 관련한 외부개입을 차단한다는 명분 아래, 연임으로 나아가기 위한 순발력 있는 발걸음이라는 곱지 않은 시선이 있었습니다. 이석채 회장은 2012년 3월 16일 열린 정기주총에서 오는 2015년까지 수장직을 유지하는 연임을 승인받습니다. 이제 정관 개정은 ‘외풍 차단'을 통한 ‘연임 보장’을 공공히 하기 위한 정지작업의 일환으로 비쳐지지요. 새 정부의 의지를 전달할 ‘시그널 전달자’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있는 2인을 ‘콕’ 집어 들어냈다는 시각입니다. “내가 국가에 마지막으로 봉사할 수 있는 게 KT의 거버넌스 시스템을 안정화하는 것” 이석채 회장이 지난 달 25일 스페인에서 열린 MWC에서 기자들에게 전한 일성입니다. KT의 지배구조를 이사회 중심으로 공공히 하겠다고 일갈했지요. 딱 둘로 갈립니다. 먼저 비록 조심스럽지만 ‘갸우뚱’하는 표정으로, “외풍 덕에 온 사람이 자기 식구 중심으로 경영진과 이사회를 만들어 스스로 연임하더니, 이제 자기 아니면 안된다며 외풍을 막겠다고 외치네”입니다. 다음으로 호기 넘치는 ‘끄덕끄덕’ 모습으로, “누가 나서면 어떠냐. 때만 되면 정권에 휘둘리는 ‘주인 없는 KT'를 이 참에 의지 있는 인사가 나서 일신하는 것도 나쁘지는 않다”입니다. 조심스런 ‘갸우뚱’과 호기 넘친 ‘끄덕끄덕’이 충돌합니다. KT의 주인인 KT인들과 KT를 바라보는 ICT인들의 대다수는 어느 쪽일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