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업계와 미래부 관계자, 기자들이 삼삼오오 모이면 2013년 KT의 ‘지금’에 대해 이런저런 얘기가 오간다. 안타깝게도 ‘잘한다’는 내용은 찾아보기 어렵다. 대부분 “너무 조급하다. 장단기 전략도 없이 몰아붙이기 식 대응만 일삼는다”고 개탄한다. 심지어 “안하무인”이라는 말도 나온다.
이구동성으로 문제를 제기하는 KT의 현 상황을 몰고 온 원인은 뭘까. 찬찬히 살펴보면 ‘정책적 판단착오와 경영부실’에서 기인한다.
첫째, 주파수 정책의 실패다. 900MHz를 가져오는 과정에서 잘못된 판단을 한 것은 분명해 보인다. 지난 2011년 LTE서비스를 주목적으로 한 주파수경매에서 당시 KT는 800MHz와 900MHz 중 전파간섭이 있는 900MHz를 스스로 선택했다.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하다는 잇점과 주파수 간섭이 있다해도, 적당한 비용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판단했음직하다.
그런데 KT는 2년이 지난 후 “2011년에 낙찰받은 900MHz 주파수대역이 간섭이 심해 LTA-A서비스가 지연되고 있다”고 하소연하는 시연회를 진행하며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자신들의 선택에 의한 주파수낙찰, 그 정책적 판단이 뭔가 잘못되자 이를 ‘남 탓’으로 돌리며 떼를 쓰는 모습이다.
둘째, 노동조합을 앞세워(?) LTE주파수 할당방안을 유리하게 가져가기 위해 시위하는 것을 보면 한심하다는 생각도 든다. KT는 “1.8GHz 인접대역을 확보하면 지금 당장 KT가입자들에게 두 배 빠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며 ‘국민편익’을 고려해 인접대역을 달라고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1.8GHz 인접대역을 값싸게 받으려는 KT요구의 이면에는 ‘이동통신 시장독식’을 바라는 얄팍한 상술이 깔려있다.
1.8GH 인접대역을 값싸게 가져가 KT가 기존의 LTE 단말기로도 당장 다운로드와 업로드에서 2배의 속도를 가진 광대역LTE서비스를 구현한다면, KT가입자는 혜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70%에 달하는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가입자는 어찌되는가. KT로 서비스를 옮기면 된다는게 KT의 논리인데...
이는 경쟁사들이 20여년 동안 갖은 노력을 다해 일군 가입자들을 그냥 날로 먹겠다는 속된말로 ‘도둑놈 심보’에 다름아니다. 일각에서는 1차원적 경영전략이라고도 지적한다. 정부에서 이미 관보에까지 고시한 주파수할당공고를 바꾸라며 노조까지 동원(?)한 KT. 정정당당한 승부가 아닌, ‘꼼수’와 ‘치졸’만이 연상된다.
셋째, 설상가상일까. 당연지사일까. 이달 18일에는 정도를 위반한 보조금 마케팅으로 KT가 사상 유례없는 강한 징계를 받았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 1월에서 3월까지 그리고 4월말부터 5월초까지 이통3사의 보조금 지급 위반관련 시장조사를 진행했는데, KT는 최고벌점인 97점을 받아 ‘위반 주도사업자’로 지목되면서, 과징금과 함께 영업정지 7일이라는 단독 가중처벌을 받은 것이다.
KT가 이렇듯 정도를 한참 벗어난 마케팅을 구사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 또한 'LTE 늑장대응'이라는 잘못된 경영판단으로부터 연유된다. KT는 이미 대세가 되어버린 LTE경쟁에서 6개월 정도 뒤늦게 LTE시장에 뛰어들었고, 이미 시장을 선점한 경쟁사들을 뒤쫓기 위해 ‘돈으로 가입자를 사는’ 보조금지급 위반행위를 주도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최근 KT경영은 ‘총체적 난국’이자 헤어나오기 힘든 깊은 수렁에 빠진 느낌이다. 또한 이 모든 KT 경영부실의 난맥상은 KT 이석채 회장의 취임 이후에 벌어졌다. 한마디로 총체적 난국이다. 예전 국민기업의 영광을 재현하려면 부실한 경영체제를 근본적으로 바꾸는 ‘환골탈태’ 수준의 근본적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백척간두’같은 국민기업 KT를 구해내기 위해, 이제 KT이사회가 나설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