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티 본사와 자택에 대한 검찰의 압수수색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 현지 출장을 강행했던 이석채 케이티 사장이 지난달 29일 저녁(현지시각) 르완다 키갈리 세레나호텔에서 열린 ‘아프리카 혁신 정상회의’(TAS)에서 기자들의 질문을 듣고 있다. 키갈리/사진공동취재단 |
이석채도 중도하차…권력따라 왔다 갔다 ‘나쁜선례’ 남겨 | |
이석채 KT회장 사의 안팎‘정권 힘으로 왔다, 정권 힘으로 가다.’3일 이석채 케이티(KT) 회장의 퇴진 선언은 쓴 뒷맛을 남긴다. 관치경제와 측근경영이라는 후진적인 정치·경제 현실의 한 단면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격랑에 휩싸인 ‘통신업계 맏이’ 케이티의 앞날도 관심사다.이석채 회장은 박정희~전두환~노태우 대통령 시절 경제기획원과 청와대에서 잔뼈가 굵은 관료 출신이다. 문민정부 시절엔 김영삼 대통령의 아들 김현철씨와의 인연(경복고 선후배)을 바탕으로 정보통신부 장관과 청와대 경제수석을 지냈다. 그는 10여년 만인 2009년 케이티 최고경영자(CEO)로 화려하게 부활했다. 당시 정권이 퇴진 요구를 거부하던 남중수 사장을 밀어낸 뒤, 후임으로 그를 낙점한 결과다. 여기엔 당시 대선에서 이명박 대통령 지지를 선언한 김영삼 전 대통령 쪽의 부탁이 있었다는 게 정설이다.이 회장은 취임 뒤 강력한 카리스마로 조직을 휘어잡고 케이티와 케이티에프(KTF) 합병, 인력 6000여명 감축, 아이폰 도입 등을 밀어붙였다. 하지만 ‘개혁 전도사’를 자처한 그의 경영 스타일은 해를 넘길수록 구설수를 불러일으켰다. 외부적으로는 정치권 인사 마구잡이 영입, 내부적으로는 무분별한 측근 중용이라는 인사 행태가 큰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김기섭·오정소·임경묵 등 과거 정보기관의 불법행위 연루자들에게까지 급여를 주고(<한겨레> 8월21일치 1·6면), 이사회 의장, 사장, 인사총괄 임원 등 핵심 요직을 경복고 선후배로 채운 게 대표적이다.회사 한 관계자는 “시스템이 아니라 이 회장 의중에 따라 모든 게 결정되는 분위기가 강해지면서, 회장 주변에 아부꾼들만 넘쳐난다는 말들이 많았다”고 설명했다.여기에 올해 7월 첫 월간 단위 적자를 기록(<한겨레> 8월21일치 6면)하는 등 경영 실적이 급격하게 악화하면서, 내부 구성원들의 불안감이 커져갔다. 케이티는 올해 3분기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6% 감소한 매출(4조1315억원), 32.8% 줄어든 영업이익(1470억원)을 올렸다. 순이익(405억원)은 무려 84.6%나 줄었다. 이동통신 3사 가운데 가입자와 매출, 영업이익 등이 유일하게 감소하는 추세다.검찰 수사는 사퇴의 결정타가 됐다. 서울중앙지검 조사부는 지난달 22일 이 회장 본인과 자택, 사무실을 압수수색한 데 이어, 지난달 31일~1일 두번째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1차 압수수색에 대해 ‘케이티는 1급수’라며 자신감을 보이던 이 회장은, 김일영·김홍진 사장과 전·현 비서실장 등 최측근들이 자정께 전격적으로 2차 압수수색을 당하자 결국 손을 들었다.전임 남중수 사장에 이어 이석채 회장까지 중도하차하면서, 민간회사인 케이티 경영권을 정부가 좌지우지하는 ‘나쁜 관례’가 더욱 고착화할 것으로 우려된다. 회사 자체적인 시정이 불가능하도록 이사회를 측근들로 채운 이 회장 잘못이 크지만, 결과적으로 정부의 개입은 후진적인 경영 풍토를 보여준다. 더욱 큰 문제는 후임 최고경영자 자리에 정권에 줄댄 관료 출신과 준정치인들이 입길에 오르고 있다는 점이다. 여기에 후임 선출 때까지 자리를 지키겠다고 밝힌, 이 회장이 어떤 영향력을 행사할지도 관심사다. 최고경영자 추천위원회는 사외이사 7명과 사내이사 1명으로 구성되는데, 이 회장은 자신과 이런저런 연줄로 얽힌 이들로 이사진을 채워 영향력이 막강하다. 케이티 한 임원은 “회사가 이렇게 망가지는 동안 단 한번도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내지 않은 ‘거수기 이사’들이 어떤 결정을 내릴지 걱정이 크다”고 말했다.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