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에 위치한 KT 매장. KT를 통한 대포폰은 오프라인보다 온라인 매장을 통해서 이뤄진 것으로 밝혀졌다. [사진=송종호 기자]
아주경제 송종호 기자 = 우리나라 대포폰 10대 가운데 8대는 KT를 통해서 개통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청은 최근 범죄악용 등으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대포물건인 대포폰.대포차.대포통장’에 대한 집중 단속을 실시한 결과 이동통신 3사 가운데 KT에서 개통된 대포폰이 492대(78.5%)로 가장 많았다고 31일 밝혔다.
‘대포물건’이란 명의인과 사용자가 다른 물건 △통장 △휴대폰 △자동차로서 범죄에 이용되거나 이용될 가능성이 높아 사회문제로 끊임없이 거론되어 왔다.
이번 단속결과 대포폰 개통 비중은 KT에 이어 SK텔레콤 61대(9.7%), LG유플러스 44대(7%)순이었다. 경찰에 따르면 대포폰 개통은 인터넷 판매 이용이 59%로 휴대폰 대리점(41%)보다 높았다. 특히 인터넷 개통 대포폰 369대 중 360대는 KT에서 이뤄졌다.
이 같은 이유로 KT가 온라인상에서 고객관리를 허술하게 해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인터넷으로 휴대폰을 개통하면 개인정보를 꼼꼼하게 요구하지 않는 다는 지적도 잇따랐다. 이번 경찰의 단속결과에는 최근 부산에서 적발된 대포폰 유통조직이 포함됐는데 이들도 기존 KT 대포폰을 활용해 계속 물량을 늘려나갔다는 분석이다.
또한 KT가 정부의 휴대폰 부정사용 대책 마련 등에 미온적이었던 점도 도마에 오르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8월 미래부가 휴대폰 부정사용 종합대책을 발표했을 당시에도 KT는 이통3사 가운데 가장 늦게 동참했다. 휴대폰 가입 단계에서 대리인 개통을 허용할지 여러 회선 개통을 허용할지 등의 여부를 본인이 직접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8월에 시작한 반면 KT는 3개월 뒤인 11월에서야 시행했다.
업계에서도 대포폰 최다 개통 사업자라는 불명예는 KT가 스스로 자초했다고 지적한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결과는 관리의 부재”라며 “고객 정보유출, 대출사기 등 여러 악재들의 연장선상에서 놓고 보면 KT의 관리 부실이 이번 결과를 낳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도 “자세한 내용은 확인 중”이라면서도 “대포폰 비중의 압도적인 1위는 분명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경찰청은 이번 단속 결과를 토대로 구조적인 문제점에 대하여는 유관기관에 통보해 적극 개선해 나갈 방침이다. ‘비정상의 정상화’ 측면에서 진행되는 이번 ‘대포물건.보험사기 상반기 특별단속’은 오는 4월 23일까지 계속된다.
한편 대포통장은 농협이 1099건(50.6%)으로 가장 많았다. 농협은 중앙회의 관리 능력이 일선 영업점에 제대로 미치지 못하는 허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