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바보 만드는 '양치기 통신사'
…SKT·KT·LGU+, 말바꾸기 9단
무려 68일에 걸쳐 진행된 통신 3사의 순차적 영업정지가 끝나고 정상적인 영업이 재개됐지만, 소비자들은 오히려 큰 혼란에 빠져들고 있다.
통신3사가 입을 모아 불가능하다고 했던 일들이 영업정지 기간을 거치는 동안 '가능'으로 바뀌는 등 통신사들의 '거짓'이 백일하에 드러났기 때문이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휴대폰 출고가 인하나 LTE 무제한 요금제 등이다.
지난해 9월 삼성전자 ‘갤럭시노트3’의 출고가가 106만7000 원으로 정해지면서 제기된 ‘출고가 인하’ 이슈는 통신업계를 뜨겁게 달궜다.
국정감사에서까지 갤럭시노트3 출고가를 거론하며 국내 스마트폰 출고가를 인하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를 제기할 정도였다.
당시 통신사들의 반응은 한결같았다.
"출고가는 제조사가 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통신사들이 힘을 쓰기 어렵다"는 것.
하지만 반 년도 안 돼 역대 최장 영업정지라는 벽에 맞닥뜨리면서 통신사들의 행태는 확 달라졌다.
LG유플러스(부회장 이상철)가 먼저 베가 시크릿업 출고가를 내리겠다고 밝히며 출고가 인하 전략을 내세우자, KT(회장 황창규)는 갤럭시S4미니와 아이폰5 등 스마트폰 9종 출고가를 대폭 할인해단독 영업기간 동안 재미를 봤다.
이어 SK텔레콤(사장 하성민)도 이 대열에 합류, 10여 개 모델 출고가를 20만 원 이상씩 내렸다.
출고가 논쟁이 일었을 때는 제조사에 책임을 돌리며 구조적 문제임을 강조했던 통신사들이 영업정지로 인해 위기가 닥쳐오자 일제히 출고가 인하에 나서며 스스로의 말을 뒤집은 것이다.
통신사들의 말 바꾸기는 이 뿐만이 아니다.
지난 2012년 카카오의 보이스톡 서비스 개시로 m-VoIP(모바일 인터넷 전화) 열풍이 몰아닥치자 통신사들은 ‘m-VoIP는 과다 트래픽을 유발해 네트워크 품질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일제히 m-VoIP를 제한했다.
이 역시 지난 4월 LG유플러스를 시작으로 3사가 모두 통화와 데이터 등을 모두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요금제를 내놓으며 거짓으로 판명됐다. 통신사들은 이번에는 ‘트래픽은 문제가 없다’ 쪽으로 입을 모았다.
한 통신사 관계자는 “사실 이 문제는 트래픽이 아니라 서비스 종류의 문제”라며 “우리와 경쟁하는 서비스를 우리가 제공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다”라고 말했다.
통신 3사는 사실 현재도 m-VoIP 이용을 제한하고 있다. 무제한 요금제도 자신있게 ‘무제한’을 외치며 출시할 때와 달리 일정 사용량이 넘으면 속도제한이 걸리게 돼 있어 '겉만 무제한 아니냐'는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통신사들은 일제히 “일부 헤비 다운로더를 제외하면 사용에 전혀 지장이 없다”고 밝혔지만, 사용자들의 이용 형태가 일정하지 않다는 점에서 일반 이용자들도 피해를 볼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통신3사의 말바꾸기는 상호비방전으로도 이어졌다.
LG유플러스는 지난 3월중순부터 4월 초까지 SK텔레콤의 단독 영업 당시 특정 기간에 번호이동자 수가 과도하게 많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하지만 4월 초순부터 하순까지 자신들이 단독을 영업할 때 이를 상회하는 가입자가 몰리자 ‘마케팅의 힘’이라며 일축했다.
이에 맞서 SK텔레콤과 KT는 미래부에 LG유플러스가 불법행위를 저질렀다고 신고했다.
그러자 KT 단독 영업때는 LG유플러스가 KT의 불법 영업 행위를 고발하고 나섰다.
3사 모두 자신들의 영업 기간 때는 ‘적법한 마케팅이며 자연스런 가입자 증가’라고 외치다가, 상대방 영업 기간 때는 ‘불법 영업’이라며 날을 세웠다.
당시에는 법정공방이라도 벌일 것처럼 목소리를 높였지만, 정작 각사의 단독영업기간이 모두 끝나자 슬그머니 입을 다물었다. 경쟁사의 불법행위는 자연스레 없던 일이 되고 말았다.
결과적으로 가입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던 셈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통신사들이 위기 속에서도 소비자들이 만족할 만한 서비스를 내놓는 것은 환영할 일이지만 그 과정에서 신뢰를 주지 못한다면 또 다른 위기가 올 수 있다”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김아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