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기대출금으로 해외에 `여의도 4배` 땅을…
서정기 대표, KT ENS 사기대출금으로 여러업체 설립 정황 드러나
서정기 중앙티앤씨 대표가 실소유주인 것으로 알려진 '플러스 인트라웨이'에 관한 말레이시아 기업위원회 자료. 이 자료는 서 대표가 회사 주식 72.4%를 보유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출처=말레이시아 기업위원회 |
1조8000억원에 달하는 KT ENS 협력업체 대출사기 사건의 핵심 피의자가 말레이시아에 여러 업체를 설립하고 여의도 4배 규모의 농장을 운영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이에 상당한 대출금이 해외로 유출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명확한 조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20일 IT업계와 금융권에 따르면 이번 대출사기 사건의 핵심 피의자 중 한 명인 서정기 중앙티앤씨 대표가 2008년 5월 대출사기를 시작한 이후 말레이시아에 여러 업체를 설립해 운영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서 대표는 전주엽 엔에스쏘울 대표 등과 공모해 KT ENS 매출채권을 위조한 후 하나은행,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 13개 저축은행으로부터 1조8000억원을 대출받은 사실이 지난 2월 적발됐다. 이중 2800억원은 미상환 상태다. 최근 공판에서 검찰은 서 대표에게 25년형을 구형했으며 8월 말 선고공판이 예정돼 있다.
본지가 입수한 '말레이시아 기업위원회(SSM)' 자료에 따르면 2008년 10월 설립된 말레이시아 기업 '플러스 인트라웨이'는 한국인 Y씨와 B씨가 대표 임원으로 등록돼 있다. 하지만 SSM 문건에 따르면 이 회사의 지분 72.4%를 서정기씨가 소유하고 있다. 문건에 나온 서정기씨의 주소는 서정기 중앙티앤씨 대표의 서울 주소와 일치해 두 사람은 동일인임이 확실하다.
플러스 인트라웨이는 컴퓨터와 관련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대규모 농장을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B2B 전자상거래 업체 '트레이드키'와 미국 수출입정보 업체 '글로벌 서플라이어스'는 플러스 인트라웨이가 말레이시아 북부 지역에 농장을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플러스 인트라웨이는 소개 글에서 "회사가 소유한 말레이시아 끌라딴 지역 3000에이커의 농장에서 목재와 레몬그라스를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레몬그라스는 레몬향이 나는 향신료의 일종으로 태국 요리 톰얌쿵에 들어가는 주요 재료다.
3000에이커 농장 크기는 12.14㎢(약 367만평)로 여의도 면적(2.9㎢)의 4배가 넘고 '서울시 중구(9.96㎢)' 보다도 크다. 엄청난 규모의 농장을 조성한 자금의 출처가 의혹이다.
또 서 대표는 2008년 8월 설립된 말레이시아 기업 '호프테크 리얼터'의 임원으로도 등록돼 있다. 리얼터는 부동산 중개인을 뜻하는 단어로 이 회사는 부동산 회사로 추정된다. 이와 함께 '인도스마트글로벌(2008년 6월 설립)'과 '퍼스트 레벨(2010년 1월 설립)'도 등록된 회사 주소가 서 대표의 회사인 플러스 인트라웨이와 동일하다. 또 플러스 인트라웨이의 임원 Y씨가 두 회사 임원으로 등록돼 있어 서 대표와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서정기 대표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것이 확인된 말레이시아 회사만 4곳인 것이다. 공판 과정에서 서정기 대표는 자금 해외유출 의혹에 대해 "해외 진출을 위해 말레이시아 등에 회사를 세웠고 현지사업과 직원 월급 등을 위해 돈을 보냈을 뿐"이라며 정상적인 사업 과정이었다고 항변한 바 있다. 하지만 휴대폰 악세사리와 관련 없는 대규모 농장을 운영했다는 점과 대출사기가 시작된 2008년 5월 이후인 6월, 8월, 10월 연달아 회사가 설립된 점이 의혹이다.
이에 해외로 사기대출금이 유출됐을 가능성이 크지만 조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의혹을 받고 있는 업체에 4명의 한국인들이 임원으로 등록돼 있지만 기소된 대출사기 피의자들 중 이들의 이름은 없다. 해외로 유출된 자금 등에 대한 수사당국, 금융당국의 발표도 없는 상황이다.
대규모 송금이 어떻게 이뤄졌는지도 의문이다. 은행을 통해 송금이 이뤄졌다면 해당 은행 송금제도와 금융당국의 모니터링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다. 또 만약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자금을 유출했다면 이를 도와준 협력자가 있을 수도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의혹이 계속되고 있지만 실체가 밝혀지지 않고 있다"며 "조사를 못하는 것인지, 안하는 것인지 정말 의문이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경찰, 검찰 그리고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이 1조8000억원 대출사기 자금의 해외유출 가능성과 협조자들에 대해 면밀한 재조사를 벌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강진규 기자 kjk@dt.co.kr
20일 IT업계와 금융권에 따르면 이번 대출사기 사건의 핵심 피의자 중 한 명인 서정기 중앙티앤씨 대표가 2008년 5월 대출사기를 시작한 이후 말레이시아에 여러 업체를 설립해 운영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서 대표는 전주엽 엔에스쏘울 대표 등과 공모해 KT ENS 매출채권을 위조한 후 하나은행,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 13개 저축은행으로부터 1조8000억원을 대출받은 사실이 지난 2월 적발됐다. 이중 2800억원은 미상환 상태다. 최근 공판에서 검찰은 서 대표에게 25년형을 구형했으며 8월 말 선고공판이 예정돼 있다.
본지가 입수한 '말레이시아 기업위원회(SSM)' 자료에 따르면 2008년 10월 설립된 말레이시아 기업 '플러스 인트라웨이'는 한국인 Y씨와 B씨가 대표 임원으로 등록돼 있다. 하지만 SSM 문건에 따르면 이 회사의 지분 72.4%를 서정기씨가 소유하고 있다. 문건에 나온 서정기씨의 주소는 서정기 중앙티앤씨 대표의 서울 주소와 일치해 두 사람은 동일인임이 확실하다.
플러스 인트라웨이는 컴퓨터와 관련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대규모 농장을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B2B 전자상거래 업체 '트레이드키'와 미국 수출입정보 업체 '글로벌 서플라이어스'는 플러스 인트라웨이가 말레이시아 북부 지역에 농장을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플러스 인트라웨이는 소개 글에서 "회사가 소유한 말레이시아 끌라딴 지역 3000에이커의 농장에서 목재와 레몬그라스를 공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레몬그라스는 레몬향이 나는 향신료의 일종으로 태국 요리 톰얌쿵에 들어가는 주요 재료다.
3000에이커 농장 크기는 12.14㎢(약 367만평)로 여의도 면적(2.9㎢)의 4배가 넘고 '서울시 중구(9.96㎢)' 보다도 크다. 엄청난 규모의 농장을 조성한 자금의 출처가 의혹이다.
또 서 대표는 2008년 8월 설립된 말레이시아 기업 '호프테크 리얼터'의 임원으로도 등록돼 있다. 리얼터는 부동산 중개인을 뜻하는 단어로 이 회사는 부동산 회사로 추정된다. 이와 함께 '인도스마트글로벌(2008년 6월 설립)'과 '퍼스트 레벨(2010년 1월 설립)'도 등록된 회사 주소가 서 대표의 회사인 플러스 인트라웨이와 동일하다. 또 플러스 인트라웨이의 임원 Y씨가 두 회사 임원으로 등록돼 있어 서 대표와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서정기 대표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것이 확인된 말레이시아 회사만 4곳인 것이다. 공판 과정에서 서정기 대표는 자금 해외유출 의혹에 대해 "해외 진출을 위해 말레이시아 등에 회사를 세웠고 현지사업과 직원 월급 등을 위해 돈을 보냈을 뿐"이라며 정상적인 사업 과정이었다고 항변한 바 있다. 하지만 휴대폰 악세사리와 관련 없는 대규모 농장을 운영했다는 점과 대출사기가 시작된 2008년 5월 이후인 6월, 8월, 10월 연달아 회사가 설립된 점이 의혹이다.
이에 해외로 사기대출금이 유출됐을 가능성이 크지만 조사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의혹을 받고 있는 업체에 4명의 한국인들이 임원으로 등록돼 있지만 기소된 대출사기 피의자들 중 이들의 이름은 없다. 해외로 유출된 자금 등에 대한 수사당국, 금융당국의 발표도 없는 상황이다.
대규모 송금이 어떻게 이뤄졌는지도 의문이다. 은행을 통해 송금이 이뤄졌다면 해당 은행 송금제도와 금융당국의 모니터링에 구멍이 뚫렸다는 지적이다. 또 만약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자금을 유출했다면 이를 도와준 협력자가 있을 수도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의혹이 계속되고 있지만 실체가 밝혀지지 않고 있다"며 "조사를 못하는 것인지, 안하는 것인지 정말 의문이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경찰, 검찰 그리고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이 1조8000억원 대출사기 자금의 해외유출 가능성과 협조자들에 대해 면밀한 재조사를 벌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강진규 기자 kjk@d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