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총회 참석차 방문한 워싱턴서 기자들에게 밝혀 “가계의 가처분소득 얼마 안돼 소비 살아날 수 없어”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한겨레 자료 사진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임금이 올라야 경제가 산다”고 강조하며, 기업들에 적극적인 임금 인상을 촉구했다.최 부총리는 지난 11일(현지시각)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 총회 참석차 미국 워싱턴을 방문한 자리에서 취재진과 만나 “임금이 오르지 않으면 경제가 살아나지 않는다”며 “통신비나 주거비 등 경직성 경비 비중이 너무 커서 실제 가계가 쓸 수 있는 가처분 소득은 얼마 되지 않는다. 이런 상황에서 소비가 살아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과거에는 주가 상승과 부동산 가격 상승에 기대 살 수 있었는데, 현재는 그마저도 여의치 않다”고 덧붙였다.이러한 발언은 정부가 내년 예산안을 편성하면서 공무원 보수를 3.8% 인상하기로 한 것에 대해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최 부총리는 “박근혜 대통령한테 (공무원 보수) 3.8% 인상안을 직접 보고하면서 공무원들의 사기를 올릴 필요도 있고, 민간 기업에 메시지를 줄 필요도 있다고 말씀드렸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앞으로 민간 기업 노사 협상에서도 공무원 보수 상승률 3.8%가 임금 협상의 기본 베이스가 될 것”이라며 “공무원도 3.8% 올리는데 우리(민간 기업)도 그 정도는 올려야 되지 않겠나라는 말이 나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임금 인상을 유도할 구체적인 정책이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에 대해, 최 부총리는 “올해 세법개정안을 발표하면서 가계소득증대세제 3종 패키지를 내놨다. 하지만 어떤 기업이 몇 푼 안 되는 세금 좀 줄여보자고 임금을 올리겠나”라며 “그런 세제 도입이나 공무원 보수 인상은 정부가 기업들에 임금을 올릴 필요가 있다는 메시지를 강력히 주려는 게 진짜 목적”이라고 강조했다. 최 부총리는 “보수 정부에서 임금을 올리라고 말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라며 “통상 임금을 올리면 기업 환경이 어려워지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현 경제 상황은 그렇지 않다. 임금을 올려야 경제가 산다”고 말했다. 하지만 최 부총리는 구체적 정책대안은 내놓지 않았고, 임금 상승 수준에 대해서도 “최소한 생산성 향상분만큼은 올려줘야 한다”는 원론적 기준을 제시하는 데 그쳤다.워싱턴/김경락 기자 sp96@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