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황창규 KT 회장이 돌연 임대주택 사업에 진출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8일 이동통신·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KT는 서울 동대문·영등포, 부산 등 전국 도심 요지에 위치한 옛 전화국 용지를 활용해 기업형 임대리츠 사업에 본격 진출한다.
국토교통부와 KT는 시범사업으로 현재 동대문구 신당동에 짓고 있는 797가구 규모 오피스텔(도시형 생활주택 262가구 포함)을 활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서울 영등포구와 부산 등에도 각각 800가구 규모의 임대주택을 짓는 등 내년까지 총 3000가구, 중장기적으로는 전국 총 1만 가구 규모의 임대주택을 선보일 계획이다.
기존 유휴 용지 위에 KT 자회사인 KT에스테이트가 시행사 자격으로 건물을 지으면 KT 산하 부동산운용 자회사가 임대리츠를 조성해 이를 매입하고 임대관리사업을 영위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황 회장은 취임 이후, 통신 사업 본연의 경쟁력 회복을 누차 강조했다는 점에서 이번 KT의 임대사업 진출 소식은 업계에서는 다소 의아스럽게 받아들이고 있다.
실제로 황 회장은 KT렌탈·KT캐피탈 등 비통신 계열사 매각을 통해 ‘탈 통신’을 표방했던 이석채 전 회장과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사업에 뛰어들었다는 것 자체가 문제의 본질은 아니다”라면서 “거기서 얻은 수익을 어디에 재투자를 할지 뚜렷한 플랜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KT는 현재 임대 사업이 고용 창출이 되는 것도 아니고 가장 쉽게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계획에 매몰돼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면서 “황 회장이 통신 시장의 포화 속에서 새로운 신성장동력을 못 찾고 있고 이는 결국 리더십 부재로 이어질 것”고 비판했다.
일각에서는 KT의 임대사업 진출이 수익성 악화를 막기 위한 ‘실적 물타기용’이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부동산 사업만한 ‘보험’이 어디 있겠느냐”면서 “통신 시장 포화로 급격한 실적 상승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에서 황 회장이 가장 안전한 선택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