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 사퇴 조장하는 'KT' | ||||
[긴급진단] 명퇴신청 거부 직원, 신설부서에 배치…명확한 업무없이 장거리 출퇴근 시켜 논란 | ||||
| ||||
경쟁력 제고를 앞세운 공기업 민영화 폐해가 근로자들의 고용 불안으로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 공기업이던 KT는 민영화 이후 명예퇴직 형식을 빌어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한데 이어 지난해 4월 명예퇴직 신청을 거부한 직원들을 명확한 업무를 배정하지 않은 채 원거리 배치함으로써 퇴사를 조장하고 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KT 노동인권보장을 위한 전북지역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에 따르면 사측은 지난해 4월 당시 근속 15년차 이상 직원을 특별명예퇴직 대상자로 지정, 8,304명을 구조조정 했다. 대대적인 감축이 있은 뒤 한 달여, KT그룹 내 업무를 지원하는 CFT(Cross Function Team)를 신설해 수도권과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강원권 등 전국 5개 권역에 지원사업부를 설치했다. 전북지역은 부안과 임실, 진안 등 3개 지역에 6명씩 배정됐다. 이들 지역에 배치된 직원 18명은 명확한 업무를 배치받지 못한 채 원거리 출퇴근이라는 불편을 감수하고 있다. 해당 지역은 통폐합과 인원 감축으로 KT 직원 몇 명과 협력업체 직원만이 민원업무를 처리하는 수준이다. CFT는 현장 마케팅, 고객서비스 활동 지원, 그룹사 상품 판매 대행, 네트워크 직영공사 및 시설 관리 업무, 기타 현장 지원 업무로 명시돼 있지만 “사실상 명확한 업무는 없는 셈이다”는 게 직원들의 주장이다. 부안으로 배치된 A씨는 “새로운 부서로 배정받은 뒤 회사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사람으로 전락했다. 의미를 모른 채 1년 남짓을 근무했다”며 “사실상 업무 공백을 매우기 위함이다”고 말했다. 올해 들어 부안 CFT직원들은 인터넷과 인터넷 TV 장비인 셋톱박스, 모뎀 등을 회수했다. 그동안 장비 회수는 협력업체 업무였지만 경력 15년차 이상인 이들에게 주어진 것이다. 지역 할당도 광범위해 불필요한 이동이라는 주장이다. 부안에서 군산, 임실·진안에서 전주로 장비를 회수하도록 했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업무를 마치고 진안 사무실로 복귀하던 한 직원은 가드레일을 들이 받는 교통사고를 내기도 했다. A씨는 “CFT 직원 대부분 근무지와 주거지가 달라 이동이 잦다. 주거지에서 사무실로, 근무지 등 대부분 시간을 밖에서 보내고 있다. 이동 경비를 고려하면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같은 사정은 지난해 역시 다르지 않다. A씨를 비롯해 6명이 처음 배정받은 임무는 지역 내 불량 시설을 사진으로 찍어 홈페이지에 게재하는 일이었다. 이들은 늘어진 전화선, 파손된 단자함 등 반년 남짓 수천 건을 보고했지만 조치는 10여건에 불과했다. 대책위는 21일 전주 KT 전북본부 앞에서 ‘고용안정 쟁취 및 노동인권 실현을 위한 kt촛불집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한편 본지는 KT측 입장을 듣기 위해 인터뷰를 요청했지만 부안 지역 담당 관계자와 전북본부 관계자는 “답변 권한이 없다”며 회피했다. /권순재 기자 |
답안아오는데는 버티는개 슬슬 몰고 다니며 운전조심이니하고
월급이나 좀 올려라 ^^